2월, 2020의 게시물 표시

경제통계) 2018년 소득분배 지표

이미지
- 2018년 가구당 처분가능소득은 3,808만원 -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의 중위소득은 2,756만원 - 시장을 통한 소득배분의 공정성은 저하, 공적이전소득의 의존 비율은 증가 오늘은 2019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서 나타난 2018년의 소득분배 상황을 점검해보겠습니다. 가계금융복지조사는 매년 통계청에서 발표하고 있는데, 조사의 기준시점이 각 년도 3월이므로 2019년의 조사는 2018년의 소득분배 상황을 나타냅니다. ■ 2018년 가구당 처분가능소득은 3,808만원 먼저, 2019년 3월 기준 가계의 경제상황부터 점검합니다. 한국의 평균적인 가구는 4억 3,191만원의 자산(중앙값 2억 5,508만원)과 7,910만원의 부채(중앙값 5,550만원)를 보유하고 있어 가구당 3억 5,281만원의 순자산(2억 50만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다만, 가구당 자산의 분포가 상당히 편향된 형태이기 때문에 대표값으로는 가구당 평균보다는 중앙값이 더 적절하다고 판단합니다. 즉, 한국의 대표적인 가구는 2억 50만원의 순자산을 보유하고 있다고 보면 되곘습니다. 가계의 연간 처분가능소득은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차감한 것으로서 가구당 평균 4,729만원이고 중앙값은 3,808만원입니다. 여기서 비소비지출이란 조세, 연금과 사회보험료, 이자비용, 이전지출과 자산구입이 아닌 금액을 말합니다. 처분가능소득의 분포 역시 편향성이 강하기 때문에 평균보다는 중앙값을 대표값으로 삼는 것이 더 적절할 것입니다. ■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의 중위소득은 2,756만원 가구별 인원이 상이하기 때문에 가구원 수를 고려하지 않은 가구당 소득은 소득의 수준을 나타내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가구원 수를 조정하여 개인소득으로 환산한 지표가 필요하게 되는데, 개인소득 지표로서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은 가구별 인원을 고려해서 가구별 소득을 개인소득으로 환산한 것입니다. 2018년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의 분포에서 중위소득은 2,756만원으

경제통계) 2018년 기업경영분석

이미지
- 2018년 매출액은 3.99%, 총자산은 5.83% 증가 - 기업의 유동성은 꾸준히 증가, 대기업의 자본구조는 부채와 자기자본이 비슷한 수준 - 기업의 활동성은 중소기업이, 주주의 이익은 대기업이 더 많아 - 배당성향은 선진국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 법인세실효세율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비슷 - 대기업은 영업잉여와 감가상각의 비중이 높고 중소기업은 인건비 부담이 높아 한국은행에서는 매년 전년도 기업경영분석 통계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의 기업경영분석 통계는 국세청 법인세 신고기업 중 비금융 영리법인을 전수조사합니다. 다만, 통계의 성격상 작성대상으로 부적합한 결산월 1~5월 법인, 비사업지주회사와 종업원이 없는 특수목적회사(SPC, PFV 등), 통계편제 제외대상 업종에 포함되는 법인은 제외합니다. 여기서 제외대상 업종은 임업, 수도업, 금융 및 보험업, 연구개발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초.중.고등 교육기관,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협회 및 단체, 가구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는 자가소비생산활동 등 제외업종 영위업체입니다. 이에 따라 2018년 기준 통계는 전산업 692,726개 업체를 전수조사했다고 합니다. ■ 2018년 매출액은 3.99%, 총자산은 5.83% 증가 먼저, 기업의 성장성을 살펴보면 매출액증가율은 2010년에 15.26%의 성장세를 보였다가 2018년에는 3.99%의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기업의 자산규모인 총자산증가율도 2010년에 9.32%였다가 작년에 5.83%의 성장률을 회복했습니다. 다만, 표의 매출액과 총자산은 명목증가율이므로 물가상승률인 GDP 디플레이터의 상승률을 고려하면 실질성장률이 매출액은 대략 4.5%, 총자산은 5.4% 정도 된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 기업의 유동성은 꾸준히 증가, 대기업의 자본구조는 부채와 자기자본이 비슷한 수준 유동비율은 기업의 단기 지급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기업의 유동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표를 보면 기업들은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