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통계) 2019년 기업경영분석

- 대기업의 비중은 0.9%에 불과 

- 매출액의 실질성장률은 1.3%, 총자산은 7.0% 

- 기업의 유동성은 꾸준히 증가, 대기업의 자본구조는 부채와 자기자본이 비슷한 수준 

- 2019년 기업의 수익성은 악화 

- 배당성향은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 법인세실효세율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비슷 

- 중소기업의 이자부담이 높은 것은 위험의 요인 

- 대기업은 영업잉여와 감가상각의 비중이 높고 중소기업은 인건비 부담이 많아 

 

대기업의 비중은 0.9%에 불과


한국은행에서는 매년 전년도 기업경영분석 통계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의 기업경영분석 통계는 국세청 법인세 신고기업 중 비금융 영리법인을 전수조사합니다. 

기업의 재무지표들을 살펴보기 전에 먼저 조사대상 기업의 수를 보면 2019년 한국에는 741,408개 업체가 있으며 그 중에서 대기업은 6,640개로서 0.9%에 불과합니다. 따라서 기업 수의 비중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불균형이 너무 커서 한국에서는 보다 많은 기업이 대기업으로 육성될 필요가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합니다.

 

매출액의 실질성장률은 1.3%, 총자산은 7.0%

기업의 성장성을 살펴보면 매출액증가율은 2017년에 9.19%의 성장세를 보였다가 2019년에는 0.44%의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기업의 자산규모인 총자산증가율도 2017년에 7.59%였다가 2019년에 6.09%의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다만, 표의 매출액과 총자산은 명목증가율이므로 물가상승률인 GDP 디플레이터의 상승률을 고려하면 실질성장률이 매출액은 대략 1.3%, 총자산은 7.0% 정도 된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기업의 유동성은 꾸준히 증가, 대기업의 자본구조는 부채와 자기자본이 비슷한 수준 


유동비율은 기업의 단기 지급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기업의 유동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표를 보면 기업들은 2010년 이후 점진적으로 유동성을 증가시켜왔음을 알 수 있겠습니다. 2019년 말의 경우 기업들은 유동부채 대비 40.37% 정도의 순운전자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부채비율은 일반적으로 기업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기업의 장기 지급능력을 보여줍니다. 특이한 것은 2019년 한국의 대기업들은 부채비율이 94.93%로서 자기자본이 부채와 비슷한 수준이라는 것입니다. 소위 레버리지효과 때문에 기업의 자본구조는 부채비율이 100%를 초과하도록 하는 것이 보편적입니다만 대기업들의 자본구조가 건전하다고 하니 독특하긴 합니다. 

 

이자보상비율은 기업의 영업이익이 이자비용의 몇 배인지를 나타내므로 이자지급능력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2019년 대기업의 이자보상비율은 414.96%로서 높고 중소기업은 235.62%로서 중소기업의 이자부담이 만만치 않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019년 기업의 수익성은 악화

총자산회전율은 기업의 자산 1원당 1년간 몇 회 매출액으로 돌아오는지를 측정한 것으로서 자산운영의 효율성 또는 기업의 활동성을 나타냅니다. 2019년 중소기업의 총자산회전율은 0.95회로서 대기업의 0.71회를 초과하여 중소기업의 자산에 걸리는 생산활동의 부하가 대기업보다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만, 2019년 전체 기업의 총자산회전율이 0.79회로서 전년에 비해서 기업의 영업활동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매출액영업이익률을 보면 대기업이 4.82%이고 중소기업이 3.42%로서 중소기업의 영업이익이 낮다고 할 수 있습니다. 총자산영업이익률은 자산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대기업은 3.34%, 중소기업은 3.09%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유의미한 격차는 없어 보입니다. 자기자본순이익률은 주주의 입장에서 수익성의 지표인데 대기업은 4.17%, 중소기업은 5.44%로 중소기업의 주주가 대기업보다 1.27%p만큼 더 많은 이익을 얻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주목할 만한 점은 2019년 전체 기업의 매출액영업이익률 4.21%, 총자산영업이익률 3.24%, 자기자본순이익률 4.55% 모두가 이전에 비해 기업의 수익성이 유례없이 악화되었음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배당성향은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 법인세실효세율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비슷 


개인적인 관심 때문에 배당성향 통계도 살펴봤는데, 한국 기업들은 독특한 배당성향을 보여줍니다. 배당성향은 2015년 이후 증가해왔습니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기업들의 배당성향은 미국이나 일본에 비해 낮은 수준입니다. 중소기업의 배당성향이 15.62%로서 매우 낮기 때문입니다. 개인적으로는 배당성향이 40%대 정도까지 되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만, 사람마다 배당성향에는 호불호가 다르므로 여기서는 이렇게 낮은 배당성향이 옳은지 그른지를 구체적으로 논의하지 않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손익계산서 통계를 가지고 기업들의 법인세실효세율을 계산해봤습니다. 여기서 발견된 사실은 대기업들의 법인세 납부세율이 27.62%로서 중소기업의 28.08%와 비슷하다는 것입니다. 법인세실효세율은 법인세납부액을 법인세차감전순이익으로 나눈 것으로서 지금까지 통계 측정 기준에 따라 대기업의 실효세율이 높니 낮니 논쟁이 있었습니다만 ‘한국은행의 기업경영분석’ 통계 기준으로 전수조사한 결과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실효세율의 차이가 유의미하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하겠습니다.

 

중소기업의 이자부담이 높은 것은 위험의 요인


듀퐁항등식에 따라서 주주들의 자기자본순이익률을 분해해보았습니다. 다만, 현실적으로 이자비용 외에 영업외손익을 구성하는 항목들이 있기 때문에 세전이익/(영업이익-이자비용)을 조정계수로 적용하면 듀퐁항등식이 성립합니다. 듀퐁항등식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자기자본순이익률이 왜 높은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표를 보면 중소기업은 총자산회전율이 높아서 기업의 활동성이 높으므로 자기자본순이익률을 높여주고 있지만 재무레버리지도 역시 높아서 중소기업의 이자부담이 크기 때문에 주주의 순이익도 크게 나타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다시 말하면, 중소기업의 재무위험이 높은 것도 순이익이 크게 나타나는 요인이 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대기업은 영업잉여와 감가상각의 비중이 높고 중소기업은 인건비 부담이 많아 


부가가치 구성항목들의 구성비를 살펴보겠습니다. 여기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에 상당한 차이가 발견됩니다. 대기업의 영업잉여는 부가가치의 19.61%로서 중소기업 9.32%의 두 배를 능가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의 인건비 부담은 부가가치의 73.93%에 달하고 있습니다. 중소기업의 조세공과가 대기업보다 더 많다는 것은 중소기업의 활동성이 더 높다는 사실과 관련되어 보입니다. 대기업의 감가상각비가 부가가치의 25.10%에 달해 대략 중소기업의 세 배에 달한다는 것은 대기업의 자본장비율이 높기 때문일 것입니다.

 

부가가치 구성항목들을 가지고 노동소득분배율을 계산해보았는데, 한국 기업들의 노동소득분배율은 74.6%로서 높은 수준입니다. 따라서 소득분배의 문제를 자본과 노동의 대립관계로 보는 시각은 틀렸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영업잉여의 차이를 가지고 중소기업에 돌아가야 할 이익을 대기업이 착취하는 것 아니냐는 문제제기를 할 수도 있겠지만 앞서 표 4에서 본 바와 같이 대기업의 수익성이 미국이나 일본과 비교해서 높다고 하기는 어렵고 대기업 주주의 이익률은 중소기업보다 오히려 더 낮아서 이익의 착취구조를 가정한 대기업-중소기업 간 불평등 가설은 타당하다고 볼 수 없겠습니다.

 

그렇다면 소득불평등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전반적으로 임금이 낮아서일까요, 아니면 노동자들 간 고용조건의 격차로 인해 발생하는 것일까요? 대기업의 인건비 비중이 낮으므로 임금이 낮아 소득불평등이 발생하는 것 아니냐고 할 수도 있겠지만 그러면 중소기업은 인건비 비중이 높으므로 중소기업의 임금이 높은 것일까요? 기업경영분석 통계를 가지고 답할 문제는 아니기 때문에 제가 여기서 답할 수는 없겠습니다만 이 글을 읽는 독자들이 한번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경제 #경제통계 #기업경영분석 #대기업 #중소기업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최저임금 인상이 잘못된 이유 알려준다.

북핵 협상게임의 내쉬균형

진보적 국제정치학자도 전술핵 배치를 주장한다.